코딩하는 문과생
[GIT] 생활코딩, GIT3 - Backup 본문
GIT으로 백업
- 우리는 컴퓨터가 언제 고장날지 모른다.
- 그러나 언젠가는 고장이 날 것이다.
- 따라서 우리는 다른 컴퓨터에 저장할 필요가 있다.
Hosting 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다. - Github.com
[용어 정리]
- 이렇게 함으로써 두 컴퓨터는 동기화가 된다.
- Remote Repo에는 Git hosting(Github)를 사용할 것이다.
[git hosting 선택]
Github - private저장소 제공x(최근에 바뀐걸로 암)
Bitbucket.org
Gitlab.com - private저장소 제공o
[저장소 생성]
-Github.com
회원가입/로그인 -> New -> my-repo이름으로 저장소 생성
->public(오픈 소스)/private(개인화) 선택 -> create repository
[공부의 방향]
[원격 저장소와 연결, push]
$ ls -al
$ git log
$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sijune/my-repo.git
# https를 선택하기 ssh가 아니라
# origin: 주소의 닉네임
$ git remote
# 원격 저장소 확인
$ git remote -v
# 원격 저장소 주소까지 확인
$ git push
# 어떤 원격저장소가 기본 저장소인가?
$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ster
# 원격저장소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
$ nano hello1.txt
# backup 작성
$ git status
$ git add hello1.txt
$ git commit -m "backup"
$ git push
[git clone]
원격저장소에 있는 프로젝트를 복제해서 복원해보자.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데 큰 편리함을 준다.
# 새로운 컴퓨터(or 폴더)
$ git clone https://githun.com/sijune/my-repo.git mydir
# mydir: 원하는 디렉토리 이름, 없다면 my-repo로 생성
$ ls -al
# 이전과 똑같은 상태
[git pull]
# A area
$ git remote -v
# B area
$ git remote -v
$ nano hello1.txt
# backup 2 추가
# ctr + x, y
$ git add hello1.txt
$ git commit -m "backup2"
$ git push
$ git log
# A area
$ git pull
$ git log
# pull, 작업, commit, push
[오픈소스]
깃을 구성하는 코드 자체를 다운받을 수 있다.
$ git clone https://github.com/git/git.git
[추가적으로]
- 분산화된 시스템: 지역 저장소, 원격 저장소
- SSH: 저장소간 보안 통신
- Issue Tracker: 문제 발생을 체계적으로 관리, 업무분담에도 활용
- 협업의 준비 완료 : 하지만 협업에서는 Conflict가 발생한다. 우리는 이제 이걸 배워볼 예정
'개발 관련 지식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생활코딩, GIT4 - 협업 (0) | 2019.12.14 |
---|---|
[GIT] 생활코딩, GIT3 - Branch & Conflict (0) | 2019.12.13 |
[GIT] 생활코딩, GIT2 - 버전관리 (0) | 2019.12.13 |
[GIT] 생활코딩, GIT 1 (0) | 2019.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