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코딩하는 문과생 (220)
코딩하는 문과생

[서론] 스프링 부트 개발을 중단하기로 결정하고 나서, 파이썬으로 작성한 데이터 분석배치가 붕 떠버렸다. 배치는 이미 개발이 완료된 상태라 그냥 두기엔 아깝기도 해서, 알림봇을 하나 만들어 사용해보려 한다. 매일 새벽에 배치작업이 마무리되고 나서 슬랙 봇으로 알림이 오는 아키텍처를 구상했고, 파이썬 slackclient 패키지를 이용해 손쉽게 구현할 수 있었다. [구현] 구현은 1. 슬랙 워크스페이스와 채널을 생성 후, 2. 알림봇 앱을 만들어 생성된 앱을 채널에 추가한다. 이후 3. 파이썬 배치가 동작하면서, slack api로부터 발급받은 토큰을 이용해 배치 결과를 4. 슬랙으로 전송해 준다. - Slack 에서 해야할 일 1. 워크스페이스 생성 우선 알림을 받을 워크 스페이스를 먼저 생성한다. 워크..

[서론] https://www.prisma.io/ Prisma - Next-generation Node.js and TypeScript ORM for Databases Prisma is a Node.js and TypeScript ORM that can be used to build GraphQL servers, REST APIs, microservices & more. www.prisma.io Prisma를 ORM으로 사용하면서 느낀 점은 정말 편하다는 것이다. "Next-generation Node.js and TypeScript ORM" Prisma를 사용하며 느낀 점은 다음과 같다. prisma client를 이용해 쉽게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다 DB내 참조관계를 prisma가 알아서 관리해주므로..

[서론] 진행하던 프로젝트는 더 이상의 진행은 무의미로 판단해 그만두기로 결정했다. 가장 큰 문제점은 프로그램 설계와 개발속도를 꼽을 수 있을 것 같다. 실제 업무에서는 기능별로 스프링 코드를 나누고, 본인은 객체 단위로 스프링코드를 나누려 하다보니 어디서부터 어떻게 나눠야 할 지 감이 안 잡힌다는 게 첫번째 문제고, 스프링 자체가 하나의 기능을 위해서 작성해야하는 파일이 많다보니 개발 속도가 점점 더뎌지면서 어느 순간부터 프로젝트를 잘 보지 않게 되었다. (ㅠㅠ) 쨌든 스프링은 잠시접어두고, GraphQL이라는 개념이 요즘 핫하게 뜨길래 궁금하기도 하고 간단한 프로젝트도 해볼 겸 필요한 내용은 블로그에 정리해보려 한다. [아키텍처] 아직 사실 잘 모르는데, 대충 지금까지 파악한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다...

개인 프로젝트에 알림기능을 구현을 위해 스프링JPA를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JPA, Hibernate, Spring Data Jpa] - JPA JPA는 기술명세다. Java Persistence API의 약자로, 자바 어플리케이션에서 관계형 DB를 사용하는 방식을 정의한 인터페이스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JPA는 말 그대로 특정 기능을 하는 라이브러리가 아닌 인터페이스라는 점이다. ex. JPA의 EntityManager : 말그대로 인터페이스다. package javax.persistence; import ... public interface EntityManager { public void persist(Object entity); public T merge(T entity); public voi..